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4.7맑음북춘천-8.4맑음철원-9.6맑음동두천-9.4맑음파주-9.1맑음대관령-12.4맑음춘천-7.3눈백령도-5.0맑음북강릉-3.7맑음강릉-4.0맑음동해-3.6맑음서울-7.8구름조금인천-7.7맑음원주-5.3눈울릉도-1.5맑음수원-7.0맑음영월-6.1맑음충주-6.2구름많음서산-4.6맑음울진-3.6눈청주-5.6구름조금대전-4.7흐림추풍령-5.9맑음안동-5.5구름많음상주-4.7맑음포항-2.7구름많음군산-3.2맑음대구-2.9구름많음전주-3.7맑음울산-2.8맑음창원-1.8눈광주-2.9맑음부산-1.6맑음통영-1.4눈목포-2.4맑음여수-2.6흐림흑산도-0.3구름많음완도-1.8흐림고창-4.5구름많음순천-4.4눈홍성-4.5구름많음서청주-5.2눈제주2.8구름많음고산2.1흐림성산2.4눈서귀포2.4맑음진주-2.1맑음강화-7.9맑음양평-6.6맑음이천-6.5맑음인제-8.3맑음홍천-7.4맑음태백-10.6맑음정선군-8.4맑음제천-7.1구름많음보은-5.7구름조금천안-5.6구름많음보령-4.6구름많음부여-4.1구름많음금산-4.6맑음세종-5.1흐림부안-2.9구름많음임실-4.7흐림정읍-4.1구름많음남원-4.1흐림장수-6.7구름많음고창군-4.0구름많음영광군-3.3맑음김해시-2.4구름많음순창군-4.2맑음북창원-1.2맑음양산시-1.4구름조금보성군-2.4구름많음강진군-2.2구름많음장흥-2.4흐림해남-2.1맑음고흥-3.0맑음의령군-1.6구름많음함양군-3.7맑음광양시-3.1흐림진도군-1.3맑음봉화-6.9맑음영주-6.2구름조금문경-5.5맑음청송군-6.0맑음영덕-3.7구름많음의성-4.0구름많음구미-4.0맑음영천-3.9맑음경주시-3.2구름많음거창-5.0맑음합천-1.7맑음밀양-2.0구름많음산청-3.7맑음거제-1.1맑음남해-1.6맑음북부산-1.2
  • 2025.02.03(월)

체코/슬로바키아 뉴스

[여행] 카프카의 도시, 프라하 (3)(2016.12.20)[레디앙]

독문학을 전공하는 작가가 프라하를 여행하며 카프카의 일생에 대해서 서술한 내용으로 잘 정리되어 있어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게시관련 저작권 확인]

[유럽도시이야기] 그의 흔적을 따라

마을의 대로(大路)는 성으로 향하지 않았다. 길은 성으로 향하는 듯하다가, 마치 의도한 것처럼 성으로부터 구부러져 버려서 좀처럼 성에 가까워지지 않았다.

카프카 <성> 중에서

오랜 기다림 끝에 겨우 프라하 성 안으로 들어왔다. 프라하 성은 그 웅장한 규모만큼이나 유럽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바로 최초의 세계대전이라 할 수 있는 30년 전쟁 (1618-1648)이 시작된 장소가 바로 이곳 프라하 성이기 때문이다.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신교의 중심지가 된 프라하와 보헤미아 지역은 구교를 숭앙하는 상국(上國) 신성로마제국과 극심한 갈등 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 갈등은 제국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려는 보헤미아 귀족들이 비엔나에서 파견된 제국 관리들을 창밖으로 내던지면서 파국적인 결말을 맡게 된다.

보헤미아의 봉기로 쫓겨난 합스부르크 출신의 페르디난트 2세가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로 하여금 프라하를 공격하게 하고 바이센베르크 전투에서 보헤미아의 신교군이 제국군에게 참패함으로써 체코 최초의 독립 시도는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독일인들의 지배하에 들어간 체코는 1919년 오스트리아 제국에서 독립하기까지 270년의 시간을 더 기다리게 된다.

이러한 역사를 감안해보면, 프라하 곳곳에 지여진 수많은 화려한 바로크 성당과 부속건물들은 기실 게르만 지배자들의 종교적 억압의 도구였음이 드러난다. 짧은 독립 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기간(1919-39)과 독일로의 강제병합(1939-1945)을 거쳐 소련에 의한 억압적 간섭에 이르기까지 체코의 역사는 피지배와 저항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그 크고 작은 역사의 흔적들이 모두 프라하 성 속에 공간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국관리를 성 밖으로 내던지는 프라하 귀족들. 이 사건은 중부유럽을 초토화시키는 30년 전쟁의 도화선이 된다.

12

역사적인 프라하성의 창문을 내다 보는 필자

성 내의 역사박물관에서 프라하 성의 역사를 꼼꼼히 톺아보고 아름다운 대성당을 구경한 후 본격적으로 카프카의 흔적을 찾아 나섰다. 대성당에서 북쪽으로 한참 걸으면 성곽에 면한 길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곳이 바로 카프카의 흔적이 베인 황금소로이다. 무척이나 예민했던 카프카는 1916년 경 소음이 없는 한적한 작업실을 찾고 있었는데, 마침 남편의 세계대전 참전으로 인해 여유가 생긴 막내동생 오틀라의 도움으로 이곳에 작은 집 한 채를 빌릴 수 있게 된 것이다.

13

프라하성 가장자리에 자리한 황금소로(Goldenes Gässchen) 22번지에 위치한 카프카의 작업실 전경. 현재는 기념품 판매소로 이용되고 있다.

아버지의 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무중력 상태의 이 외딴 작업실에서 그는 <시골의사 Ein Landarzt (1918)>, <학술원에 보내는 보고서 Ein Bericht fuer eine Akademie (1917> 등 수많은 명작을 탄생시킨다. 이곳은 “카프카의 집”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실 카프카는 이곳을 작업실로만 사용했을 뿐 실제로 거주하지는 않았다. 당시 그는 이곳에서 약 1킬로미터 떨어진 쇤부른궁전 Schoenborn-Palais에 거처를 마련해 놓았었다. 실제로 집 내부로 들어가 보면 너무나 협소하고 허름해서 과연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싶을 정도이다.

10년 만의 방문에 감회가 남달라 기념사진을 한 장 찍은 후, 작업을 마치고 자정 무렵 집으로 향하던 카프카의 흔적을 쫓아 시내로 내려왔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성으로의 여행이 시작된 원점인 프란츠 요제프 다리였다. 이 다리의 한쪽에 카프카 가족의 아파트 쭘 쉽(Zum Schiff)이 위치해 있다면, 다른 한편엔 또 다른 역사적 장소가 있기 때문이었다.

카프카의 시선이 향했을 다리 건너 언덕 위에는 현재 거대한 메트로놈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리엔 원래 체코 독립의 아버지인 마사리크 Masaryk의 조각상이 세워질 예정이었는데,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소련의 영향 아래에서 건설됨으로써 스탈린 조형물이 설치되게 된 것이다.

이 거대 석상은 스탈린 사후인 1962년 폭파 해체된 후 기단만 방치되어 있다가 1991년 그 위에 초대형 메트로놈이 설치되었다. 이 메트로놈이 무엇을 상징하는지에 대한 해석은 분분하지만, 필자는 여기서 계속된 외부의 침략과 지배 속에서 때로는 독일로 때로는 소련으로 흔들릴 수밖에 없었음에도 자신의 페이스를 잃지 않았던 체코인들의 끈기와 독립에 대한 열정을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유럽통합 이후 다시금 커지는 독일의 영향력에서 오는 위협을 체코인들의 극우화의 방향이 아닌 민중의 단결된 힘으로 뚜벅뚜벅 극복해 나가리라는 희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14

2차 세계대전 직후 스탈린 우상화 과정에서 설치된 조형물. 스탈린의 뒤를 따르는 체코와 소련 병사들의 모습

15

현재의 모습. 스탈린과 카프카의 시선이 다리를 가운데에 놓고 교차하는 기묘한 장소이다

카프카의 흔적을 찾아 떠난 프라하 여행을 마치면서 마지막 향한 곳은 유대인 거주지역이였다. 이곳의 공동묘지에 카프카가 영원한 휴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카프카는 평생 프라하에서 벗어나기를 원했지만, 프라하의 발톱은 그를 끝끝내 놓아주지 않았다. 그는 1924년 폐결핵 합병증으로 비엔나 근교 키어링의 병원에서 사망했지만, 그의 시신은 프라하로 옮겨져 결국 이곳에 묻혔다.

카프카의 가족묘지에는 그와 부모님의 시신이 안장되어 있다. 그가 사랑했던 동생 오틀라와 다른 두 명의 동생은 모두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서 살해당했으며, 오로지 그들의 이름만이 묘비 아래 조그만 명패 속에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16

유대인 공동묘지의 카프카 가족 묘비. 프란츠 카프카 박사의 이름이 아버지 헤르만과 어머니 유리에 카프카의 이름과 함께 새겨져 있다.

17

프라하 성 내의 대성당. 성은 지배와 통제의 공간이며, 성곽은 민중으로부터 지배자를 분리하는 방어선이다.

추기(追記):

한국의 탄핵정국에 즈음해 프라하 성에 대한 원고를 작성하면서 카프카의 미완성 소설 <성 Schloss (1922)>이 생각났다. 소설은 토지측량사인 K가 성에서 부름을 받고 측량을 위해 성이 위치한 어떤 마을로 향하면서 시작된다. 이어서 불합리하고 불투명한 지배자들의 공간인 성과 그 곳으로 들어가 토지를 측량하려는 K간에 답답하고 지리멸렬한 대결이 내내 이어진다.

무수한 노력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K는 결국 성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겉보기에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듯하지만 불투명하고 작위적으로 작동하는 성의 권력은 결국 K에게 승리를 거둔다. 소설 속 성의 모습을 보면, 접근 불가능한 성 속에 숨어 권력의 간계를 이용해 세월호 등의 진실을 밝히려는 국민의 노력을 무산시키고자 온갖 불의를 일삼았던 박근혜 정권의 모습이 겹쳐진다.

그러나 한국에서 이 성의 권력은 결국 붕괴했다. 혼자였던 K는 실패했지만, 한국에서는 수백만 민중이 광장에 모여 성의 문을 열 것을, 진실을 밝히고 측량하게 해줄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었다. 민중의 힘으로 성으로 향하는 대로가 활짝 열렸으며, 탄핵을 통해 성 안에 숨은 지배자의 무리를 끌어내릴 수 있게 되었다. 이제 그 동안 감춰졌던 진실을 측량하고 민중이 주인 되는 공화국을 건설하기 위해 성 안으로 진입하자
.

필자소개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 박사과정





[출처 : http://www.redian.org/archive/103812]
[정보공유라이센스 2.0 : 영리금지]

검색결과는 총 1,22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865 [사회] 프라하 공항 지난 1년간 199명의 마약 밀수업자 적발 (2019.02.25) 운영진 02.27 0 5,824
864 [경제] 프라하의 평균 임대료, 1㎡당 340코루나에 달해 (2019.02.19) 운영진 02.26 0 5,466
863 [사회] 자국 경제 상황에 만족한 체코인 80%에 달해 … 23년 만에 최고치 (2019.02.15) 운영진 02.26 0 5,233
862 [보건] 폴란드산 쇠고기 살모넬라 박테리아 오염 확인(2019.02.20) 운영진 02.22 0 5,945
861 [경제] 체코 2월 소비자 물가지수(CPI) 1% 상승(2019.02.20) 운영진 02.20 0 5,646
860 [사회] 2018년 체코 범죄율, 5년 연속 하락 (2019.01.31) 운영진 02.19 0 5,203
859 [경제] 테스코 슬로바키아, 야간 매장 운영 중단 (2019.02.14) 운영진 02.19 0 5,580
858 [경제] 2018년 1~11월 체코 거쳐 獨 유입된 불법 이민자 10.8% 증가 (2019.01.22) 운영진 02.18 0 5,146
857 [경제] 폭스바겐 슬로바키아 지부, 6월까지 3,000명 해고 계획 (2019.02.13) 운영진 02.18 0 4,977
856 [국제] 체코 총리, “싱가포르에 대사관 재개관할 것”(2019.01.18) 운영진 02.13 0 6,629
855 [경제] 슬로바키아의 평균 임금 1,000유로 돌파에도 유럽연합 최저에 머물러(2019.02.11) 운영진 02.13 0 5,754
854 [경제] 체코의 11월 소매업 거래량, 전년 대비 6.1% 증가(2019.01.16) 운영진 02.11 0 4,957
853 [사회] 체코 전체 노동자 중 외국인의 비율 11%… 10년 전보다 2배 이상 증가(2019.01.15) 운영진 02.11 0 6,610
852 [사회] 2019년 체코인의 해외여행 수, 사상 최고치에 이를 전망(2019.01.07) 운영진 02.09 0 5,225
851 [산업] 폭스바겐 브라티슬라바 공장, 헝가리 공장의 파업으로 인해 생산량 제한(2019.02.01) 운영진 02.09 0 5,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