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5.9맑음북춘천3.3맑음철원1.7맑음동두천4.8맑음파주2.5맑음대관령-1.8맑음춘천4.3맑음백령도4.6맑음북강릉3.4맑음강릉4.8맑음동해4.9구름많음서울7.2구름조금인천6.6구름조금원주5.3맑음울릉도4.5구름조금수원5.1구름조금영월6.4맑음충주4.6맑음서산3.6구름조금울진5.2구름많음청주8.2구름많음대전8.4맑음추풍령4.0맑음안동4.7맑음상주4.9맑음포항6.8구름많음군산7.2맑음대구6.5구름많음전주8.0맑음울산4.7맑음창원6.9맑음광주8.1맑음부산8.1맑음통영7.3맑음목포5.9맑음여수9.0맑음흑산도5.3맑음완도5.7맑음고창3.3흐림순천4.8구름많음홍성5.0구름많음서청주6.0맑음제주7.2구름많음고산8.1구름많음성산7.4맑음서귀포9.1맑음진주4.1맑음강화3.5구름많음양평6.3구름많음이천6.7맑음인제2.8맑음홍천4.1구름조금태백1.3맑음정선군2.9맑음제천2.7맑음보은4.2구름많음천안4.6구름많음보령5.1흐림부여7.1구름많음금산7.8구름많음세종7.1맑음부안6.4구름많음임실6.5맑음정읍5.0맑음남원6.2흐림장수7.2맑음고창군4.0맑음영광군4.6맑음김해시6.6맑음순창군5.1맑음북창원7.6맑음양산시6.4구름많음보성군6.5맑음강진군4.4맑음장흥3.2맑음해남2.4맑음고흥5.6맑음의령군5.2맑음함양군6.8맑음광양시9.0맑음진도군2.5맑음봉화1.4맑음영주3.7맑음문경5.3맑음청송군0.9맑음영덕3.8맑음의성2.8맑음구미6.5맑음영천2.8맑음경주시2.6맑음거창4.7구름많음합천7.0맑음밀양5.6구름많음산청6.3맑음거제6.4맑음남해6.6맑음북부산5.1
  • 2025.04.04(금)

CZ/SK 비즈니스/법률

슬로바키아, 2~3%대의 꾸준한 경제 성장 예상(2016.11.22)

슬로바키아, 2~3%대의 꾸준한 경제 성장 예상
2016-11-22 최규철슬로바키아브라티슬라바무역관

- 2016 3.0%, 2017 2.7% 성장 예상 -

자동차분야가 슬로바키아 경제 성장의 동력 -

 

 

 

□ 거시경제 동향 및 전망

 

  ㅇ (경제 성장) 슬로바키아 경제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중

    - 실질 GDP는 2013년 1.4%에서 반등세를 보여 2014년 2.4%로 증가했으며, 2015년 성장률도 전년동기대비 3.2% 상승. 금융위기 이전의 높은 성장률(2007년 10.7%, 2008년 5.4%)을 기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2016년은 3.0%, 2017년에는 2% 후반대의 성장률 기록할 전망

      · 실질 GDP 증가는 주로 건실한 투자 수요와 민간 및 정부부문의 소비지출 증가에 기인 

      · 민간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당분간 유지되고 순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중국 및 개도국 시장의 경기둔화 가능성은 경제 성장에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소지가 있음.

      · 성장률 추이: 1.6%(‘12) → 1.4%(’13) → 2.4%(‘14) → 3.6%(’15) → 3.0%(’16, 예상) → 2.7%(’17, 예상)

 

EU 및 슬로바키아 GDP 성장률 비교

 external_image

자료원: Eurostat

 

  ㅇ (재정적자) 2017, GDP 대비 재정적자 1.9% 전망

    - 슬로바키아의 2015년 재정적자는 GDP 대비 3.0%로 '14년 대비 다소 증가

      · 2015년도 15% 세수 증가로 수익을 27% 끌어올렸지만, 지방자치제 재정 사용액 증가국유 보건시설 및 철도의 지출 요인으로 증가

      · 2014년 GDP 대비 재정적자 2.8%

    - 2016년 의료비 및 지방정부의 지출 증가가 예상, 수도 브라티슬라바의 고속도로 우회도로 건설 계획, 낮아진 배당소득 요인으로 GDP 대비 재정적자 2.2% 예상

    - 2017년도는 법인세율 인하에 따른 세수 감소가 예측되나, 정부지출 축소에 따라 GDP 대비 1.9% 재정적자 전망


  ㅇ (실업률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2014년도부터 감소세 전환, 2017년도에는 8%대 예상

    10%의 실업률을 유지하고는 있으나개선 추세 

      · 실업률이 2013 14.1%, 2014 12.8%, 2015 11.5%, 2016 6 9.45%로 감소하는 추세

      · 비교적 건실한 내수 증가에 힘입어 2015 2/4분기 고용률 상승으로 2015년의 실업률이 2014년에 비해 낮아졌고, EU는 향후 슬로바키아의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노동시장 여건 개선을 반영해 2016년과 2017년 실업률이 지속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실업률 추이: 13.5%(11)  13.6%(12)  14.1%(13)  12.8%(14)  11.5%(15)  9.6%(16, 예상 8.6%(17,예상)


  ㅇ (물가) 2016년 이후 물가 상승, 2017 1%대 물가 상승 전망

    소비세와 에너지 가격의 고정과 민간소비의 약세가 낮은 물가상승률을 야기

      · 2014, 2015년은 물가상승률이 0% 대로 미미했으나 슬로바키아 중앙은행과 EU는 내수 증가임금 상승에너지 가격의 회복 등의 요인으로 2016 이후 슬로바키아의 물가상승률이 플러스로 반전되고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물가상승률 추이: 4.1%(11)  3.7%(12)  1.5%(13)  -0.1%(14)  -0.2%(15)  -0.3%(16, 예상 1.1%(17,예상)


   (환율) ECB(유럽중앙은행)의 양적완화정책으로 인한 유로화 가치 하락

    2014년부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채택해 온 유럽중앙은행(ECB) 2016 3월 정책회의에서 예치 금리를 마이너스(-) 0.4%로 추가 인하하고, 양적완화 규모를 월 600억 유로에서 800억 규모로 늘림.

    - 유로화는 2015년 초 1.2101달러에서 거래를 시작해 1.0865달러로 마쳐 10% 하락

5.png
 

□ 산업 환경


  ㅇ (개관) 2012년 경기불황의 여파로 2013년까지 경기 침체를 경험했으나, 2014년부터 회복세로 들어서 현재까지 꾸준한 경제 성장을 보이고 있음.

    특히 자동차전자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이러한 성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수출기반 산업구조로 외부 환경에 밀접하게 연동돼 있어 특히 유럽 경기 침체 시 슬로바키아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음.


  ㅇ (자동차전체 산업 생산이 43%를 차지하는 슬로바키아 제1의 산업

    슬로바키아 전체 산업 생산의 43%, 전체 산업 수출의 35% 차지

    전체 고용의 약 35% 20만 명을 고용하는 대표산업

    - 폴크스바겐(1992) 공장 건립 이후 PSA 푸조 씨트로엥(2003), 기아자동차(2004)가 진출. 연간 100만 대를 생산하는 유럽 자동차 생산의 중심지가 됨. 

      · 국민 1인당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국으로 인구 1000명당 183대 생산

    재규어-랜드로바가 2018 2분기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연간 30만 대 규모의 생산공장 건립 중

6.png
  

슬로바키아 자동차 생산공장 위치

 external_image


    자동차 OEM뿐만 아니라 자체 생산설비 또는 창고 운영 등 약 300개의 자동차 관련 회사가 비즈니스 영위 중

(참고)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05 [전문가오피니언] 프라하 총기난사 사건과 체코 총기법 개정(2024.02.07) 운영진 02.18 1 1,726
104 체코 연금 개혁의 필요성과 진행 현황[전문가오피니언](2023.11.30) 12.14 0 1,735
103 체코, 긴축패키지 법안 2024년 시행 예정(2023-11-06) 운영진 11.10 0 1,916
102 [전문가오피니언] 체코의 경제 상황과 코로나19에 따른 피해 완화를 위한 정부조치 운영진 07.09 0 4,920
101 [이슈트렌드] 슬로바키아, 코로나19로 인해 고용시장 전망 최악... 경제 구조 개혁 시급 운영진 07.03 0 4,192
100 [이슈트렌드] 중동부유럽,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우려(2020.03.19) 운영진 03.23 0 3,869
99 [전문가오피니언] 스코다자동차와 철도전력공사의 사례 경제 동향(2019.07.21) 운영진 10.14 0 3,962
98 체코, 무인항공기(드론) 활용 확대(2018.06) 운영진 03.29 0 4,326
97 지갑 여는 체코 소비자, 고급 소비재 및 IT 제품 소비 증가(2월) 운영진 03.01 0 3,987
96 2019 체코 진출전략 (2019.01.15) 운영진 02.18 0 4,239
95 체코, EU GDPR에 따른 자국법 하원 통과(12/2018) 운영진 02.06 0 3,705
94 [전문가오피니언] 체코 경제호황과 향후 전망(2018.12) 운영진 12.03 0 4,543
93 [산업] 로봇 도입이 가속화되는 체코 시장 (2018.08.10) 운영진 08.21 0 4,168
92 슬로바키아 진출 시 알아야 할 온라인 마케팅 전략(6월) 운영진 08.07 0 4,225
91 체코 게임, 독창성으로 세계 게임시장 공략(2018.04) 운영진 07.30 0 3,085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