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2.6맑음북춘천-5.8맑음철원-7.3맑음동두천-4.9맑음파주-5.0맑음대관령-8.9맑음춘천-4.3맑음백령도-0.7맑음북강릉-1.5맑음강릉-1.1맑음동해-0.9맑음서울-3.9맑음인천-3.4맑음원주-2.1눈울릉도-0.6맑음수원-3.8맑음영월-3.9맑음충주-3.6맑음서산-2.3맑음울진-1.4맑음청주-2.5구름많음대전-2.7구름조금추풍령-3.8구름조금안동-3.9맑음상주-2.8구름조금포항-0.1구름조금군산-3.5맑음대구-1.1맑음전주-1.6맑음울산-1.0구름조금창원0.1맑음광주-1.0구름조금부산0.7구름많음통영0.7흐림목포0.1구름많음여수-0.9흐림흑산도1.5구름많음완도0.0흐림고창-1.5구름많음순천-3.0맑음홍성-2.6맑음서청주-2.1흐림제주3.5흐림고산3.4흐림성산2.8흐림서귀포4.7구름많음진주-1.2맑음강화-3.4맑음양평-2.8맑음이천-3.5맑음인제-4.3맑음홍천-3.5맑음태백-7.5맑음정선군-5.0맑음제천-4.4구름조금보은-3.0맑음천안-2.9구름조금보령-2.2구름많음부여-2.0맑음금산-3.1구름많음세종-2.9구름조금부안-1.6맑음임실-3.7구름많음정읍-3.0흐림남원-4.6맑음장수-5.2구름많음고창군-1.3흐림영광군-0.3구름조금김해시-0.7구름조금순창군-2.3구름조금북창원0.9구름조금양산시0.5구름많음보성군-1.2구름많음강진군0.0구름많음장흥-0.6구름많음해남0.4구름조금고흥-2.7맑음의령군맑음함양군-2.7구름많음광양시-1.7흐림진도군0.8맑음봉화-6.3맑음영주-3.3구름조금문경-2.9맑음청송군-5.4맑음영덕-1.1맑음의성-6.5맑음구미-3.8맑음영천-2.1구름조금경주시-1.1맑음거창-4.2맑음합천-0.9맑음밀양-0.5맑음산청-2.5구름많음거제0.9구름많음남해-0.2구름조금북부산0.8
  • 2025.02.18(화)

CZ/SK 비즈니스/법률

체코, 변화하는 소비지출 트렌드(2016.11.15)

체코, 변화하는 소비지출 트렌드
2016-11-15 정지연체코프라하무역관

- 가처분소득 증가로 재량적 소비 증가 -
- 생활수준 향상 및 인구구조의 변화로 의료서비스, 여가·문화 분야 성장 가능성 -


□ 체코 소비자 소득 및 소비지출 동향

  ㅇ 지난 20년 동안 소비지출 약 60% 증가
    - 체코 통계청이 2016년 8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체코 내 가계 최종 소비지출 금액은 2조1000억 코루나(약 864억 달러)로, 이는 2015년 체코 GDP의 절반 수준임. 20년 전과 비교해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소비 지출이 5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가계최종소비지출(Household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일정한 기간 동안 가구에서 가구원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구입한 대가로 지출되는 일체의 비용(자료원: 두산백과)
    - 최근 5년간 민간소비지출 동향을 살펴보면, 2011년 유로존 경제위기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2012년에는 -1.3%로 감소함. 2013년부터 다시 소비가 증가했으며, 2015년에는 경기회복 반등으로 3.1%의 소비 증가율을 기록함. 
      · 민간소비지출(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일정 기간 중 최종생산물에 대한 가계와 민간비영리단체의 지출(자료원: 매일경제)

  ㅇ 가처분소득 증가로 생활수준 향상

EU 국가 소비지출 및 가처분소득

자료원: 체코 통계청

     - 체코 월평균임금(세전)은 2016년 2분기 기준 2만7297코루나(약 1121달러)로, 지난 2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했으며 최근 3년간은 매년 3~5%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소득 증가로 인한 생활수준 향상이 체코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에 큰 변화를 가져옴.
    - 2015년 기준, 평균 실질 가처분소득은 1만7635 코루나(약 724달러)로 중동부 유럽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준임. 
      ·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개인소득에서 일체의 개인세를 뺀 나머지로, 소비 또는 저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소득(자료원: New 경제용어사전)


□ 체코 소비자 지출 현황


  ㅇ 월평균 1만6672코루나(약 683달러) 지출, 주거비용 가장 높은 비중
    - 일반적으로 필수 지출 항목인 주거, 식료품 관련 지출이 전체 지출의 44% 이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기타 상품 및 서비스 부문의 세부항목에서는 보험, 개인관리(미용 및 관련용품), 금융서비스 순으로 지출비중을 차지함.

    - 최근 5년간 소득 증가로 음식 및 숙박 서비스, 주류 및 담배, 여가 및 문화 부분의 지출이 증가함. 특히, 여가 부문의 세부항목 중 패키지 여행은 증가했으나, 인터넷 발달로 미디어 매체 및 도서의 구매는 감소함.
    - 반면,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공교육비가 보장되고 사교육 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체코의 특성으로 인해 교육 항목이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함. 최근 5년간 소득 증가에도 교육부문 지출은 오히려 감소함.
    - 소득별 지출현황을 살펴보면, 소득 하위 20% 계층 대비 상위 20% 계층의 지출항목 중 가구, 외래진료, 차량(구입∙유지) 항목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음. 그 밖에 패키지 휴가, 의류, 주택 수리 및 관리, 주류, 외식, 보험 등의 항목에서 더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남.

2015년 월평균 1인당 소비지출 현황


지출 항목

금액(코루나)

비중(%)

1

주택임차료 및 에너지

4,511

27.1

2

식료품 및 음료

2,855

17.1

3

주류 및 담배

1,451

8.7

4

기타 상품 및 서비스

1,341

8.0

5

차량(구입/유지) 및 교통

1,547

9.3

6

여가, 문화, 스포츠

1,446

8.7

7

음식 및 숙박 서비스

1,085

6.5

8

주거용품, 인테리어

906

5.4

9

의류 및 신발

601

3.6

10

통신

49

3.0

11

건강/의료

56

2.1

12

교육

81

0.5


합계

16,672

100

주: 보험금융서비스미용 및 관련용품 등

 자료원체코 통계청


□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
 
  ㅇ 소비심리 개선으로 재량적 소비 증가

    - 설문조사기관 STEM의 2014년 조사에 따르면, 68% 체코인들이 현재 생활수준에 만족한다고 응답함.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심리가 개선돼 2011~2012년 기간 침체된 신차 구매, 해외여행 등 재량적인 소비가 2013년 이후 증가하고 있음. 
    - 2015년 신차 등록 수는 2013년 대비 40% 증가한 19만2714대를 기록했으며, 2014년에는 해외여행도 3년 전과 비교해 7% 정도 증가함.
 
  ㅇ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서비스 분야 소비 증가
    - 저출산, 높은 이혼율, 늦어지는 결혼시기 등의 요인으로 1인, 2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음. 2013년 기준, 전체 가구의 30%가 1인 가구로, 2030년까지 34%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1인 가구의 자기관리 및 여가생활에 투자하는 소비패턴으로, DIY 중심의 여가서비스 시장, 미용 및 네일 서비스 분야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
    - Euromonitor 리포트에 따르면, 인구노령화로 2030년까지 소득상위 계층(연간 평균소득 15만 달러 이상)에서 60세 이상 그룹의 소득 증가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며 의료서비스, 여가·문화, 음식 및 숙박서비스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높음.
   
  ㅇ 생활수준 향상으로 건강식품(유기농, Gluten-free, 채식) 관련 소비 증가

    - 임신부, 아이 있는 가구 중심으로 유기농 식료품 구입이 증가하는 추세로, KPMG 조사에 따르면 4%의 체코 소비자가 유기농 식품 주기적으로 구입하고, 37% 소비자가 유기농 식료품을 간헐적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남. 
    - 건강식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채식주의가 증가하는 경향에 따라 프라하를 중심으로 채식식당 또한 증가하는 추세임. 또한, 2015년 기준 6~10세 아이의 13%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나 채식식단을 제공하는 유치원도 증가하고 있음.
   
  ㅇ 온라인 구매 성장세 지속
    - 인터넷 및 모바일 사용 증가로 체코 소비자들의 온라인쇼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체코 통계청에 따르면, 온라인 시장은 2015년에는 21.5%, 2016년 1분기에만 19% 성장을 기록함.
    - 체코 소비자들은 가전제품을 가장 많이 온라인으로 구매하며 의류, 식료품, 주택∙정원용품 및 화장품 온라인 구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또한, GE capital Bank에 따르면 체코 소비자들은 크리스마스 시즌에 평균 3000~5000코루나를 온라인 쇼핑을 통한 구매에 사용한다고 함.
    - 체코 소비자들의 온라인 주문 후 매장 방문 수령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해, 체코 최대 온라인 쇼핑몰 Alza.cz사는 최근 고객이 언제든지 주문한 물건을 찾아갈 수 있는 무인물품보관함인 Alzabox를 시내에 설치해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음.
  
□ 시사점
  
  ㅇ 2016/2017년에도 소비지출 증가세 지속 전망

    - 체코 재무부가 2016년 7월 발표한 경제지표 전망치에 따르면, 민간소비지출 증가율을 2016년 3.1%, 2017년 2.7%으로 예상하고 있어 체코 내 소비지출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임.

    - 또한, 체코 에너지규제청(ERU)는 2017년 에너지 가격인하 계획을 발표해 올해 연말까지 새로운 가격결정안을 제시할 예정임. 이로 인해 소비자들의 고정지출 부담이 감소해 소비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임.
  
  ㅇ 변화하는 체코의 소비지출 트렌드에 따른 진출전략 필요

    - 소득 증가에 따른 생활수준 및 구매력 향상으로 여가·문화, 음식 및 숙박, 의료 등 서비스 분야 진출 가능성이 엿보이며, 소득별·연령별 소비 트렌드에 따른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자료원: 체코 통계청, Euromonitor, ihned.cz, ceskatelevize.cz, praguemonir.com 등 체코 일간지 및 KOTRA 프라하 무역관 자료 종합


[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 저작권 조건 확인 ]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75 [이슈분석] 슬로바키아 2018년 예산안의 주요 내용과 2017년 예산과의 차이점(2017.12.25) 운영진 01.02 0 1,743
74 [이슈분석] 다국적 기업의 중동부 유럽 소비자 차별 문제 (2017.12.13) 운영진 12.19 0 1,272
73 체코 건강보조제시장 성장, 자연성분으로 건강 챙긴다(2017.11.21) 운영진 12.18 0 1,803
72 슬로바키아인의 건강관리는 음료에서 시작된다(2017.11.01) 운영진 12.12 0 2,874
71 외국인 취업박람회로 알아본 체코 취업 유망분야 운영진 11.30 0 3,133
70 슬로바키아에 부는 LED 바람 운영진 11.19 0 1,422
69 현지 헤드헌터에게 듣는 체코 취업전략(2017.10.26) 운영진 10.30 0 1,569
68 슬로바키아의 한국 화장품 진출 현황(2017.09.13) 운영진 10.24 0 1,632
67 [전문가 기고] 2018년 슬로바키아 세제 개편안 운영진 10.05 0 1,305
66 체코 외식시장, 최근 핫 트렌드는?(2017.09.19) 운영진 09.29 0 2,227
65 [전문가 기고] 한국과 슬로바키아 간 조세조약에 대한 이해(2017.08.28) 운영진 09.06 0 1,436
64 슬로바키아의 주류 소비(2017.08.23) 운영진 08.29 0 2,470
63 체코의 자동차산업 의존과 지속 발전에 대한 장애물(2017.08.27) 운영진 08.29 0 1,562
62 유럽 5위 자동차 생산국 체코, 자동차부품 생산설비 시장 엿보기(2018.08.24) 운영진 08.25 0 2,493
61 [유망] 체코 화장품 시장동향(2017.08.09) 운영진 08.20 0 2,942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