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5.4흐림북춘천-2.1흐림철원-2.2흐림동두천-0.5흐림파주흐림대관령-3.7흐림춘천-1.6눈백령도0.5비북강릉4.4흐림강릉4.6흐림동해5.3눈서울2.1눈인천0.7흐림원주-0.6흐림울릉도4.6눈수원0.1흐림영월-3.5흐림충주-1.9흐림서산1.0흐림울진5.6눈청주0.3눈대전0.4흐림추풍령-1.7흐림안동-2.3흐림상주-0.4흐림포항4.4흐림군산0.5눈대구0.8눈전주0.6비울산2.5눈창원0.5비광주1.5비부산2.4흐림통영1.8비목포2.6비여수2.0비흑산도5.0흐림완도3.6흐림고창1.7흐림순천-1.5눈홍성0.4흐림서청주-1.0비제주7.7흐림고산10.3흐림성산11.1비서귀포10.0흐림진주-1.5흐림강화-0.6흐림양평-1.5흐림이천-1.6흐림인제-3.2흐림홍천-2.5흐림태백0.1흐림정선군-5.0흐림제천-2.9흐림보은-2.1흐림천안-0.5흐림보령1.5흐림부여0.6흐림금산-1.4흐림세종-0.7흐림부안1.2흐림임실-0.4흐림정읍1.0흐림남원-0.4흐림장수-1.7흐림고창군1.7흐림영광군1.3흐림김해시-0.1흐림순창군-0.1흐림북창원0.3흐림양산시1.1흐림보성군2.4흐림강진군3.5흐림장흥2.9흐림해남4.7흐림고흥2.1흐림의령군흐림함양군-1.6흐림광양시1.6흐림진도군5.4흐림봉화-4.3흐림영주-1.4흐림문경-2.0흐림청송군-3.8흐림영덕4.6흐림의성-2.3흐림구미0.0흐림영천-1.5흐림경주시-0.6흐림거창-3.1흐림합천-1.0흐림밀양-0.8흐림산청-2.3흐림거제1.4흐림남해0.5비북부산1.0
  • 2025.02.12(수)

생활/여행정보

[생활] 봄에는 봄나물!

[출처 문화포털(한국문화정보원) - 저작권 조건 확인]

봄에는 봄나물!

김정숙
 
2016-03-21

봄에는 봄나물!

봄에는 봄나물!

겨울을 이긴 생명의 기운을 음식으로 먹다 


봄은 한 장의 연서(戀書)처럼 온다. 들판을 가로지르는 바람에는 풀씨들의 노래가 묻어있고 얼음 풀린 강둑의 아지랑이는 흙마저 부풀린다. 이런 날 따스한 햇살을 안고 나물을 캐는 건 봄이 주는 선물이다. 봄에 나는 나물과 나물이 음식이 되는 이야기.  


겨울을 이기고 봄이 왔다. 봄은 생명의 상징, 자연도 인간도 건강을 다시 한번 더 되새기고 다독거리는 시간이 되었다는 신호를 받는다. 건강하게 사는 최고의 열쇠는 스스로 치유력을 높이는 것. 인간에게 치유력을 가르치고 베푸는 자연의 가장 중요한 음식이 채소, 나물이다. 봄반찬의 주역이 되는 달래, 냉이, 쑥, 씀바귀 등의 새순과 봄나물은 모진 겨울을 이겨내고 대지의 에너지와 햇빛을 충분히 받고 자라 강인한 생명력을 준다. 약간 씁쓰레한 맛도 나지만 사람이 먹으면 미각을 자극하고 몸에 쌓인 노폐물이나 지방을 배출해서 몸을 가볍게 한다. 음식을 섭취한다는 것은 영양과 칼로리만 먹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생명력을 함께 먹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생명에 대한 것을 알아가며 진정한 맛을 즐길 줄 아는 것은 하늘이 내린 귀한 봄음식에 대해 예의를 갖춘 정중한 대접이다.





유채나물 ⓒ 우듬지. 김정숙




쑥ⓒ 우듬지. 김정숙










달래ⓒ 우듬지. 김정숙





비옥한 풍토에서 잘 자랐으니, 그 나물이 곧 보약


산수가 아름답고 풍토가 비옥했던 우리나라는 4천여 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고 그 중 약초로 알려진 것만 1천여 종이다. 산과 들에 절로 나서 자란 식물을 통칭해서 ‘푸새’라고 하고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무의 싹과 잎, 식물의 뿌리 등을 조리한 찬을 ‘나물이라고 했다. 산나물, 들나물, 재배나물로 나눠지지만 이런 구분과는 별개로 나물은 나물은 우리 민족의 주요한 찬거리였다. 조선시대의 문헌 <용재총화>에는 다양한 나물의 종류와 주요 경작지가, 고려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는 여섯 가지 채소의 생태적 특징과 조리법까지 기술되는 등 조상들은 나물에 대한 관심도 컸고 종류도 무척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은 나물의 영양적인 가치까지 더해져서 더욱 귀한 대접을 받게 되었다. 칼륨 함량이 많은 나물은 산성화되는 몸을 알칼리성으로 바꾸며 저항력을 길러주고 체내의 염분을 배출하는 힘도 가지고 있으며 항암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하니 나물을 ‘잘 먹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일이 되었다. 




 냉이ⓒ 우듬지. 김정숙 







취나물ⓒ 우듬지. 김정숙





귀한 나물이니 귀하게 다뤄 맛과 향을 다치지 않게 하라


나물은 자라면서 섬유질은 많아지고 맛과 향은 차츰 옅어지므로 줄기가 연하고 색은 진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체취 혹은 구입 후 바로 먹는 것이 좋으나 마땅하지 않다면 잘 말려서 건나물로 먹을 수도 있다. 냉이나 돌나물, 미나리 등 잎이 있는 것은 필요 없는 잎 부분을 떼내고 두릅이나 달래는 줄기나 뿌리 부분을 조심스럽게 벗기고 자르는 등 손질은 각각 다르지만 조심스럽게 다뤄야 본래의 맛과 영양을 해치지 않는다. 씻을 때는 그릇에 물을 받아 살살 헹구듯 하는 것이 정석인데 쓴맛이 나거나 거칠어서 그냥 먹기 힘든 것은 끓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고 살짝 데치면 향과 빛깔은 돋워지고 섬유질은 부드러워진다. 일반적으로 취나물, 돌미나리, 두릅 등 잎이 푸른 나물은 모양과 색을 살려 끓은 물에 소금을 조금 넣어 데치고 돌나물, 달래,봄동 등은 날 것으로 무쳐 먹는다.




냉이국ⓒ 우듬지. 김정숙





나물의 성질을 이해하면 요리도 쉬워진다


나물을 찬으로 먹이 위해서는 조리과정이 필요해진다. 음식을 주로 다루는 사람들이야 기본적으로 아는 과정도 해보지 않는 사람에게는 헷갈리고 어렵기만 할 것이다. 공부도 그렇지만 나물을 조리할 때도 기계적으로 외우려고만 하지 말고 각 나물의 성질을 먼저 이해하면 조리법은 훨씬 쉬워진다. 나물을 데칠 때는 딱딱한 부분인 줄기나 뿌리부터 먼저 넣고 씀바귀, 취나물, 고들빼기, 쑥 등 쓴맛이나 떫은 맛이 있는 것은 데치거나 삶은 후 찬물에 잠깐 담그면 쓴 맛이 제거된다. 대신 아삭하고 상큼한 식감을 살려야 제맛인 생채나 겉절이는 먹기 직전에 무친다. 말린 나물에는 깊은 맛이 나는 간장을, 숙주나 콩나물 등 담백한 맛이 특징인 나물에는 소금을 쓴다. 이렇게 손으로 조물조물 하면 나물반찬이 봄 밥상을 부자로 만들어 줄 것이다. 세상은 그저 주는 것이 없다지만 봄나물은 예외인 것 같다. 약간의 노력으로 건강과 생명,절로 행복해지는 자연의 입맛을 얻으니 나물은 하늘이 인간에게 ‘그저 주는 것’이다. 





봄동 겉절이ⓒ 우듬지. 김정숙






- 작성자 : 음식 칼럼니스트 김정숙




저자/ 김정숙(음식 칼럼니스트) 
저서 및 약력/ 전남과학대학교 호텔조리김치발효학과 명예교수, 광주김치아카데미원장, 대한민국김치협회자문위원, <나물수첩>,<우리김치가 좋다>, <내 몸을 살리는 자연의 맛 산나물 들나물>, <자연의 깊은 맛 장아찌> 등 다수

김정숙 칼럼니스트

● 전남과학대학교 호텔조리김치발효학과 명예교수, 광주김치아카데미원장, 대한민국김치협회자문위원 ● 저서 <나물수첩>,<우리김치가 좋다>, <내 몸을 살리는 자연의 맛 산나물 들나물>, <자연의 깊은 맛 장아찌> 등 다수

출처 광주김치아카데미

전체댓글0

검색결과는 총 34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135 1~2달정도 있을 방구해요~ 킴스 06.13 0 2,827
134 인터넷전화 꼭 필요한가요? 이진희 06.11 0 3,112
133 7월 10일부터 8월 말까지 지내실 룸메이트(여) 구합니다. yeinn 06.10 0 3,121
132 시트지 부착 서비스 부동산중개사 05.29 0 2,969
131 [완료]9월 9일부터 2020년 1월 말까지 살 집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린이의때수건 05.29 0 3,555
130    [RE] 9월 9일부터 2020년 1월 말까지 살 집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테이스트프라하 06.10 0 2,616
129 프라하 1구역 플랫 쉐어합니다~~ dkahfmqkd 04.02 0 3,254
128 4월초부터 지내실 쉐어 구합니다 Bizarrem 03.20 0 3,637
127 장기 쉐어 구합니다. ranoproject 03.13 0 3,549
126 3월1일부터 플랫쉐어 임대합니다 !! 김수연 02.20 0 3,119